입력 : 2016.09.05 02:47 | 수정 : 2016.09.05 07:03
[서울·수도권 상당수 지역, 10년前 '부동산 버블기'의 고점 넘어서]
- 이해 힘든 수도권 부동산 과열
재건축 아파트 가격 치솟고 신규 아파트 청약 100대1 넘기도
"재건축 추진이 본격화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석 달 새 3억원이 올랐죠. 매물이 나오면 일주일 안에 거래되고, 다음번 매물은 5000만원 높게 나오네요."
지난 2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일부 주민은 집값이 올라 좋다고 하면서도 하루 사이에도 수천만원 오르니 무섭다고도 한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일부 주민은 집값이 올라 좋다고 하면서도 하루 사이에도 수천만원 오르니 무섭다고도 한다"고 말했다.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의 재건축과 분양시장이 '부동산 버블기'를 방불케 하는 투기 시장으로 변질되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8·25 가계부채 대책'에도 서울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치솟고, 일부 신규 아파트 청약경쟁률은 100대 1을 넘어섰다. 반면 대구 등 지방은 집값이 올 들어 최대 2% 정도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급 과잉과 인구 감소 우려 등 집값 급락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서도 초저금리로 인해 일부 지역 시장이 과열되는 이상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세 차익 노린 거래 급증
이상 과열은 서울 재건축 시장이 주도하고 있다. 3월 11억1000만원에 거래됐던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 전용면적 56.57㎡형은 7월 2억4000만원이 오른 13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면적 103.54㎡형도 6개월 새 2억원 가까이 올랐다. 분양 시장도 달아올랐다. 지난달 청약을 접수한 개포주공3단지 재건축 '디에이치 아너힐즈'는 63가구 모집에 6339명이 몰리며 평균 10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지난 1일 청약을 받은 '래미안 장위1'도 평균 21대 1이라는 올해 서울 강북권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올해 7월 수도권 분양권 웃돈 총액이 작년보다 93% 더 많다"며 "그만큼 시세 차익을 노린 거래가 늘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정상 범위 넘어선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서울·수도권의 경우 상당수 지역이 '부동산 버블기'인 2006~ 2008년의 고점을 넘어섰고, 분양권 거래나 분양가 상승세가 위험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분석한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현재는 성급하게 투자에 나섰다가는 피해를 볼 수 있는 '어깨 위' 시장"이라고 했다. 실제 공급 과잉도 우려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5~2016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54만6684가구이지만, 2017~2018년 입주 물량은 73만6507가구에 달한다.
◇시세 차익 노린 거래 급증
이상 과열은 서울 재건축 시장이 주도하고 있다. 3월 11억1000만원에 거래됐던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 전용면적 56.57㎡형은 7월 2억4000만원이 오른 13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면적 103.54㎡형도 6개월 새 2억원 가까이 올랐다. 분양 시장도 달아올랐다. 지난달 청약을 접수한 개포주공3단지 재건축 '디에이치 아너힐즈'는 63가구 모집에 6339명이 몰리며 평균 10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지난 1일 청약을 받은 '래미안 장위1'도 평균 21대 1이라는 올해 서울 강북권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올해 7월 수도권 분양권 웃돈 총액이 작년보다 93% 더 많다"며 "그만큼 시세 차익을 노린 거래가 늘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정상 범위 넘어선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서울·수도권의 경우 상당수 지역이 '부동산 버블기'인 2006~ 2008년의 고점을 넘어섰고, 분양권 거래나 분양가 상승세가 위험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분석한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팀장은 "현재는 성급하게 투자에 나섰다가는 피해를 볼 수 있는 '어깨 위' 시장"이라고 했다. 실제 공급 과잉도 우려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5~2016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54만6684가구이지만, 2017~2018년 입주 물량은 73만6507가구에 달한다.
상황이 이런데도 수도권 일부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는 가장 큰 이유는 초저금리이다. 마땅히 투자할 곳이 없는 상황에서 은행에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려 집값이 오를 만한 곳에만 투자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미국·유럽에서도 초저금리로 주택 가격이 과열되고 있다. 송인호 KDI 연구위원은 "투자자가 서울·수도권 지역 부동산 시장에 몰리면서 과열 양상을 빚고, 경북·충북·대구·울산 등에서는 집값이 떨어지는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마땅한 대책을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토부는 일부 시장의 과열을 인정하고 있지만, 내년 이후 공급 과잉으로 인해 집값 폭락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분양권 전매 제한 등의 '고강도 대책'은 주저하고 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불법 전매, 다운계약서, 양도세 전가 등의 문제를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했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정부의 부동산 부양 정책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올해 말까지 부동산 안정화 정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현재의 거품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마땅한 대책을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국토부는 일부 시장의 과열을 인정하고 있지만, 내년 이후 공급 과잉으로 인해 집값 폭락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분양권 전매 제한 등의 '고강도 대책'은 주저하고 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불법 전매, 다운계약서, 양도세 전가 등의 문제를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했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정부의 부동산 부양 정책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올해 말까지 부동산 안정화 정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현재의 거품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 이해 힘든 수도권 부동산 과열 이석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