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뉴스 9] 부동산 시장 '훈풍'…울릉도 땅값 '강남 저리가라'

    입력 : 2015.04.29 14:08 | 수정 : 2015.04.29 14:26

    TV조선 방송 화면 캡쳐.
    전국 부동산 시장에 훈풍이 불면서 아파트 모델하우스는 집을 사려는 사려는 사람들로 북적이고,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에는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울릉도 항구 인근 상업부지도 최근 3.3㎡당 3000만원까지 오르는 등 지방 관광 명소의 땅값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 기사와관련된 TV조선 영상 보기

    다음은 TV조선 보도 원문

    [앵커]
    부동산 시장에 전국적으로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아파트 모델하우스엔 내집 마련을 하려는 실수요자들이 몰리고,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에는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 투자자들이 몰립니다. 이러다 보니 지방 관광 명소에선 일부 부지 땅값이 서울 강남에 버금가는 수준까지 오릅니다.

    정운섭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아파트 견본주택입니다. 집 구경을 온 방문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 치솟는 전셋값에 내 집 마련에 나선 전세민들도 상당수입니다.

    이성훈 / 경기도 의정부
    "금리도 내려서 전셋값에다 조금만 대출 받으면 집 살 수 있겠다 싶어서…."

    최근 청약에 불기 시작한 열풍이 전국을 강타하면서, 건설사들의 상반기 청약 성적표도 합격점을 향해 순항 중입니다.

    대우건설은 창원과 용인, 서울 내 공급한 단지들 대부분이 성공리에 청약을 마쳤고, 최근 경기도에 공급한 '동탄2신도시 2차 푸르지오' 역시 평균 청약 경쟁률 58.5대 1로 전 타입 마감되며 청약 연타석 홈런을 쳐냈습니다.

    부동산이 살아나면서 땅에도 돈이 몰립니다. 올 1분기 LH공사가 수도권에 내놓은 주상복합용지와 상업용지의 평균 낙찰가율은 140%로 크게 올랐습니다.

    관광객이 몰려드는 지방도 예외가 아닙니다. 최근 3년새 관광객이 부쩍 늘어난 울릉도의 일부 인기지역 땅값은 서울 강남과 맞먹는 수준입니다.

    관문인 도동항 인근 상업부지의 경우, 3년 전까지 3.3㎡당 1천600에 거래되던 땅이 최근엔 3천만 원까지 오릅니다.

    전문가들은 저금리 기조에 은행에서 빠져 나온 투자금이,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 붐을 탄 제주와 울릉도 등으로 몰려들면서, 지방 관광 명소의 땅값도 꾸준히 오르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TV조선 정운섭입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