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수도권 분양시장에 地方투자자들 올라온다

    입력 : 2013.06.20 03:01

    ["수도권 집값 바닥" 인식… 래미안 한강신도시 2차, 계약자 중 10%가 지방 거주자]

    -건설업체 할인 분양도 한몫
    수도권서 거주할 자녀 위해 미리 사는 실수요 많아
    과거 활황기 '上京투자'와는 달라

    "집 4채를 사시겠다고요?"

    지난 5월 초 경기도 고양시에서 중대형 미분양 아파트를 분양 중인 '일산 아이파크' 박근대 분양소장은 깜짝 놀랐다. 광주광역시에서 온 60대 한 남성이 "임대사업을 해서 세를 받을 생각"이라며 아파트 4가구를 한 번에 사겠다고 한 것. 그가 계약한 것은 4억6000만원대로 할인 분양 중인 전용 151㎡ 중대형 아파트다. 원래 분양가는 6억8000만원 선이다.

    박 소장은 "올해 들어 지방 소비자들이 계약 문의를 하는 경우가 작년보다 부쩍 늘었다"며 "수도권 집값이 바닥이라는 인식이 커졌다는 걸 실감한 사례"라고 말했다.

    좁혀지는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 집값 격차.
    최근 수도권 분양 시장에서 지방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의 움직임이 조금씩 늘고 있다. 최근 2~3년간 지방에서는 광역시를 중심으로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투자자의 발길은 주로 수도권 대신 지방 시장에 몰렸다. 하지만 지방의 집값 오름세는 둔화할 조짐이 나타나는 반면, 수도권은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집값이 바닥에 가까워졌다는 인식이 커지자 조금씩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일부 지방 광역시의 경우 새 아파트 분양가가 수도권과 엇비슷해지거나 더 비싸진 사례도 나오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3월 대구 범어동에서 공급된 'e편한세상 범어' 전용 59㎡ 분양가는 2억4200만원 안팎이었다. 올 초 수도권 주요 분양 시장 중 한 곳인 경기 화성 동탄2신도시에서 호반건설이 공급한 전용 59㎡ 아파트 분양가(2억4880만원 선)와 큰 차이가 없다.

    또 울산에서 대우건설이 작년 5월 분양한 '문수산 푸르지오' 전용 84㎡는 3억9490만원대로, 현대산업개발이 경기 남양주시에서 지난 5월 공급한 같은 크기의 '별내 2차 아이파크' 분양가(3억6990만원)보다 오히려 비쌌다.

    2006~2007년 수도권 집값이 오를 때도 지방에서 '상경(上京) 투자' 붐이 일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큰 폭의 시세 차익을 노려 고가의 서울 강남권 아파트 투자에 주로 나서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우선 수도권에서 직장이나 학교에 다닐 수 있는 자녀에게 집을 사주려는 실속형 소비자들이 늘었다. 투자 대상도 초기 비용 부담이 작은 수도권 택지지구 아파트 등으로 분산되고 있다. 초기 분양가가 저렴하거나 할인분양을 하는 경우가 많은 고양·용인·김포시 일대나, 개발 호재가 있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동탄2신도시 등이 대표적이다.

    삼성물산이 경기도 김포 한강신도시에서 분양 중인 '래미안 한강신도시 2차' 아파트의 경우 전체 계약자 중 10%가 부산, 대전, 광주 등에서 온 지방 거주자다. 울산에서 온 조모(48)씨는 "아들이 수도권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있어 미리 3억3000만원짜리 중소형(전용 84㎡) 아파트를 샀다"며 "울산 집값이 최근 많이 올라 작은 집으로 이사를 하고 시세 차익 남긴 것으로 투자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건설이 동탄2신도시에서 분양한 '롯데캐슬 알바트로스' 아파트를 구입한 배모(46)씨는 개발 호재를 보고 투자를 한 사례다. 전용 101㎡를 4억4000만원에 계약해 5년간 양도세 면제를 받을 수 있는 데다, 동탄2신도시에 KTX(고속철도)가 들어선다는 점을 감안했다. 그는 "대형 건설사 아파트인 데다 대구 집값과 비교해 분양가가 크게 부담스럽지 않은 점이 좋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방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올 연말까지는 산발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4·1 대책에서 나온 5년간 양도세 감면이 연말까지 적용되는 데다, 이 기회를 틈타 건설사들이 할인 분양을 하며 지방에서도 수도권 아파트 판촉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산업연구원 김현아 실장은 "당분간 자녀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는 형태로 지방 거주자의 산발적인 투자가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최근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 구조가 더욱 굳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움직이길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