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이대·종로5가, 임대 수익 쑥쑥… 경기 불황도 빗겨간 '알짜 상권'

    입력 : 2013.03.21 03:08

    요즘 뜨는 서울 상권
    작년 4분기 임대료 시세 조사 결과…강남역 신분당선 개통 이후 상승
    신촌 부근도 유니클로 등 입점으로 전 분기보다 ㎡당 1900원씩 올라
    홍대·합정·영등포 여전히 하락세…광화문도 권리금 올라 세입자 기피

    서울에서는 어느 상권(商圈)이 뜨고 있을까. 장사가 잘되는 곳을 찾는 상인들이 몰리면 임대료가 오르기 마련.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지난해 4분기 상권별 평균 환산 임대료 조사에서 명동과 이대, 종로5가 일대가 3~6% 올라 저력을 과시했다. 반면 영등포 권역(여의도·영등포역·영등포시장·영등포구청)은 일제히 하락했다. 강남에서도 강남역과 교대역은 오르고, 선릉역과 신사동은 내리는 등 희비(喜悲)가 엇갈렸다.

    부동산114리서치센터가 집계한 2012년 4분기(9~12월) 상권 환산 임대료 시세에 따르면 이대 상권은 4분기 ㎡당 월 임대료가 평균 6만3300원으로 전 분기(6만100원)와 비교하면 5% 상승했다. 환산 임대료는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하고 월세와 관리비를 합한 금액. 환산 임대료를 기준으로 하면 보증금 수준에 관계없이 월세만으로 임대료 수준을 비교할 수 있다. 이대 앞에서 33㎡ 점포를 빌리려면 월평균 200만원 이상 월세를 내야 한다는 의미다.

    명동은 ㎡당 11만9800원에서 12만3200원(3%), 종로5가는 3만9700원에서 4만2000원(6%)으로 각각 뛰었다.

    조사 대상 주요 상권 24곳 중 9곳만 임대료가 올라 상가 시장 역시 아직 회복세기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대와 더불어 신촌 부근도 ㎡당 3만9900원에서 4만1800원으로 상승했다.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장용훈 연구원은 “신촌에서 이대로 이어지는 연계 상권은 최근 신촌 중심으로 유니클로, 갭, 에잇세컨즈 등 젊은 의류 전문 브랜드가 잇따라 입점하면서 유동층을 흡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촌을 벗어나 고풍스러운 뒷골목 문화를 일궈가던 홍대 상권은 같은 기간 평균 임대료가 ㎡당 3만3200원에서 3만1900원, 합정은 3만2500원에서 3만1500원으로 떨어져 주춤하고 있다. 장 연구원은 “홍대 상권도 대로변 상가는 여전히 임대료가 높지만 이면도로변 점포 중심으로 임대료가 떨어졌다”고 말했다.

    강남역 상권은 2007년 고점을 기록한 뒤 하락세를 보이다가 2011년 신분당선 개통을 계기로 재기에 성공, 지난해 4분기 ㎡당 3만4100원으로 전 분기보다 1000원 올랐다. 지금 흐름을 감안하면 2013년 말이나 2014년 초쯤 과거 최고점에 다시 이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도심부 상권은 명동을 제외하면 부진의 늪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종각이 지난 4분기 -4.1%, 광화문은 -2.5% 등을 기록해 부동산 경기 침체에 높은 권리금 요구가 겹치면서 임차인들이 기피하는 상황이다.

    외곽 지역 중에서는 청량리역 6.5%(㎡당 2만4000원), 노량진 9.3%(2만8700원), 중계동 은행사거리 6.6%(2만6300원) 등이 임대료가 올랐다.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가 2011년 3분기(3만5100원) 이후 5분기 연속 상승해 4만1500원을 기록했다. 중구는 지난해 2분기 3만9800원에서 4분기 3만3000원으로 17% 떨어졌다. 임대 수익률은 서대문 5.86%, 중구 5.17%, 마포 4.80% 순으로 높았고 강남 3.40%, 서초 2.50%, 종로 3.89% 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국적으로는 주요 시·도 중 상가 임대료가 오른 곳은 서울(1.2%)과 대전(5.3%)뿐이었다. 대전은 세종시 입주 효과를 타고 임대료가 상승 곡선을 그렸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