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0.02.23 03:27
전·월세 강세, 저금리로 새 투자 대상으로 인기… 매물 많은 곳은 피해야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73㎡(22평)형 오피스텔을 소유한 이모(37)씨는 이달 들어 부동산 중개업자들의 전화 공세에 시달리고 있다. 이씨는 1주일에 2~3통씩 이런 전화를 받고 있다. 그는 "요즘 전세난 때문에 오피스텔을 찾는 세입자가 많다"면서 "월세를 9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릴 생각"이라고 말했다.
최근 아파트값이 안정된 반면 전·월세금이 치솟으면서 원룸·오피스텔·고시원 등 이른바 '월세 수익형 주택'이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투자 대상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개강을 앞둔 대학가 원룸도 월세가 뛰면서 투자 수익성이 좋아지고 있다. 연세대·이대·서강대 등이 몰린 신촌 일대 원룸은 평균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50만~70만원을 호가한다. 지난해 말보다 월 5만원 이상 올랐다는 것이 현지 부동산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은 "최근 퇴직자 중심으로 매월 고정적으로 임대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원룸·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문의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도시형 생활주택을 장려하면서 건축기준을 대폭 완화하고, 건축비의 50%를 국민주택기금에서 지원하는 등 지원책을 내놓아 원룸 등 월세 주택이 부동산 시장에서 새롭게 각광 받고 있다"고 말했다.

월세형 부동산은 경매시장에서도 인기다. 최근 낙찰가와 낙찰률이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경매업체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서울의 오피스텔 경매 낙찰률은 지난해 11월 23.88%에서 12월 51.46%로 상승했고, 올해 1월에는 61.25%를 기록했다.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주변의 감정가 1억원짜리 원룸은 지난달 법원 경매에서 17명이나 응찰해 예정가격보다 20% 이상 높은 1억2123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그러나 원룸·오피스텔 등 월세형 부동산이 모두 안정적인 임대수익을 내는 것은 아니다. 주변에 매물이 많거나 역세권이 아닌 곳은 공실률(空室率)이 높을 수 있다.
고시촌인 서울 관악구 서림동(구 신림2동)의 원룸이나 고시원에는 빈 방이 적지 않다. 이곳은 서울대까지 걸어서 10여분 거리지만, 2000년대 초부터 원룸과 고시원 붐이 일면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빈 방이 늘고 있다. 고시원장 이모(68)씨는 "보증금 없이 월세 25만원에 방을 내놔도 학생이 별로 없다"며 "주변에 원룸이 많이 생겨 월세를 20여만원까지 인하했지만 여전히 빈 방이 많다"고 했다. 함영진 실장도 "주변에 유사시설이 많으면 공실률이 높을 위험이 있고, 오피스텔 신규 분양의 경우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지만 10년 안에 임대사업을 포기하면 환급받은 부가세 일부를 반납해야 한다"고 말했다.
☞ 도시형 생활주택
지난해 정부가 1~2인 가구와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도입한 제도로, 전용면적 85㎡(25.7평) 이하 소형으로 지을 수 있고, 주택 형태에 따라 단지형 다세대와 원룸, 기숙사형 등이 있다. 단지 규모는 20가구 이상 150가구 미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