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9.12.18 03:02
전문가 "일시적 반등"
10월 초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확대 이후 내림세를 탔던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가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송파 잠실주공·강남 개포주공 등 일부 단지의 매매 호가가 이달 들어 최고 7000만원쯤 가격이 뛴 것. 집주인들이 "바닥을 찍었다"는 기대감에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呼價)를 높이고 있다.
1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초 반포주공1단지(138㎡)는 지난달 초 20억2500만원이던 호가가 이달 들어 7500만원 오른 21억원 선에서 형성되고 있다. 송파 잠실주공5단지(112㎡)는 지난달 말 11억6000만원에서 이달 11억7500만원까지 올랐다. 잠실 S공인 관계자는 "매도자들이 매물을 일제히 거둬들여 주택형별 7~8건씩 나와 있던 매물이 3~4건으로 줄었다"고 전했다. 송파 가락시영2차(42㎡)도 지난주 5억8000만원에 나온 급매물이 팔리면서 6억1000만원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물연면적 비율) 상향 기대감이 퍼지고 있는 개포주공1단지(42㎡)도 2주새 1000만원이 오른 8억2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가격 상승이 전반적인 아파트값 상승으로 이어지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시적인 가격 상승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규제 완화 등 시장 펀더멘털이 바뀐 게 없어 대세 상승으로 이어지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강동 고덕주공이나 강남 은마아파트 등 대부분 단지는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은 "강남 재건축 단지에서는 특별한 이유가 없어도 1000만~2000만원쯤 가격이 등락하는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면서 "지나치게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스피드뱅크 조민이 리서치팀장은 "최근 반등 현상은 일부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생긴 현상"이라며 "추가 매수세가 유입되지 않고 정부가 DTI 등 금융규제 기조를 유지하는 한 아파트값이 '바닥'을 찍기에는 무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