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9.05.28 03:20 | 수정 : 2009.05.28 08:47
미분양 역대최대 16만가구 아파트 30% 할인판매에 기존 계약자들, 입주 막아
지난해 11월부터 입주가 시작된 대구 수성구 범어동의 A아파트. 15일 오전 아파트 진입로에선 비장한 기운이 맴돌았다. 새로 이사 오는 집이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오전 10시쯤 아파트 주민 30여 명이 진입로로 몰려나왔다. 반대쪽엔 방패로 무장한 전경과 여경(女警) 등 경찰 100여 명이 진을 쳤다.
오전 10시50분쯤 이삿짐 트럭이 단지 내로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자 주민들이 진입로로 쏟아져 나와 길을 막았다. 주민 5~6명은 "입주하려면 차라리 나를 밟고 가라"며 길 위에 드러누웠다. 치열한 몸싸움은 1시간 넘게 이어졌다. 주민 10여 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올 들어 두 번째 벌어진 일이다. 일부 주민들은 입주자들의 경계가 느슨한 새벽 3~4시에 승용차로 짐을 하나 둘씩 옮기는 '도둑 이사'를 하기도 한다.
이 같은 사태가 벌어진 것은 건설사가 미분양으로 남아 있는 아파트를 올해 초부터 30%가량 할인 판매에 나서면서부터다. 아파트는 조금씩 팔렸지만 제값을 다 주고 산 기존 계약자들이 반발하며 할인 분양 받은 가구의 입주를 조직적으로 막기 시작했다.
아파트 입주민 전모(47)씨는 "누구는 은행빚 내서 5억5000만원이나 주고 샀는데 똑같은 아파트를 지금은 1억5000만원 이상 깎아서 팔아 치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건설사는 "우리도 손해를 감수하고 할인 판매를 하고 있는데 주민들이 명백한 불법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맞서고 있다.
오전 10시50분쯤 이삿짐 트럭이 단지 내로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자 주민들이 진입로로 쏟아져 나와 길을 막았다. 주민 5~6명은 "입주하려면 차라리 나를 밟고 가라"며 길 위에 드러누웠다. 치열한 몸싸움은 1시간 넘게 이어졌다. 주민 10여 명이 경찰에 연행됐다. 올 들어 두 번째 벌어진 일이다. 일부 주민들은 입주자들의 경계가 느슨한 새벽 3~4시에 승용차로 짐을 하나 둘씩 옮기는 '도둑 이사'를 하기도 한다.
이 같은 사태가 벌어진 것은 건설사가 미분양으로 남아 있는 아파트를 올해 초부터 30%가량 할인 판매에 나서면서부터다. 아파트는 조금씩 팔렸지만 제값을 다 주고 산 기존 계약자들이 반발하며 할인 분양 받은 가구의 입주를 조직적으로 막기 시작했다.
아파트 입주민 전모(47)씨는 "누구는 은행빚 내서 5억5000만원이나 주고 샀는데 똑같은 아파트를 지금은 1억5000만원 이상 깎아서 팔아 치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건설사는 "우리도 손해를 감수하고 할인 판매를 하고 있는데 주민들이 명백한 불법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맞서고 있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봄, 지방은 겨울
최근 인천 송도·청라지구에선 최고 수백 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부동산 시장 과열론'까지 등장했지만 수도권만 벗어나면 완전히 딴 세상 얘기다. 일부 건설사들은 지방 미분양 아파트를 대폭 할인 판매하고 있지만 기존 계약자들이 반발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갈등을 빚고 있다.
강원도 원주 반곡관설동에선 4~5개 아파트 단지가 일제히 10~18%씩 할인 판매에 나선 상황. 이 중 일부는 아파트 건설 공사에 참여했던 하도급업체들이 공사 대금 대신 받은 아파트 가격을 할인 판매하고 있다. 새 아파트 단지 곳곳에 '할인분양 결사반대'라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부산에선 회사의 경영사정 악화로 미분양 아파트를 떠안은 직원들이 집단행동을 벌이고 있다. 중견건설사인 S건설이 부산 서면에서 분양한 아파트가 팔리지 않자 직원 50여명에게 아파트를 떠넘겼다. 그러나 이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공사를 포기하자 직원들은 1인당 계약금 수천만원씩을 몽땅 날리게 됐다.
◆경기회복돼도 미분양 해소될지는 의문
국토해양부 집계 결과, 3월 기준으로 전국 미분양아파트는 16만5641가구. 역대 최대 규모다. 수도권은 2만8600가구, 지방은 13만7041가구에 이른다. 인구 비율은 지방과 수도권이 비슷하지만 미분양 아파트 수는 지방이 4배가 넘는다. 아파트를 다 지었는데도 팔리지 않아 '악성(惡性)'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수도권 2078가구에 불과하지만 지방은 4만9691가구나 된다.
더 큰 문제는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지방 주택시장이 되살아나기가 쉽지 않다는 것. 지난해 하반기 이후 시작된 경기 침체에 따른 영향보다는 2~3년 전부터 지방 주택 시장은 이미 공급 과잉 상태였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지방에선 일반적인 주택 수요자가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기는 쉽지 않은 만큼 주택 임대 사업을 활성화시키는 방법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최근 인천 송도·청라지구에선 최고 수백 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부동산 시장 과열론'까지 등장했지만 수도권만 벗어나면 완전히 딴 세상 얘기다. 일부 건설사들은 지방 미분양 아파트를 대폭 할인 판매하고 있지만 기존 계약자들이 반발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갈등을 빚고 있다.
강원도 원주 반곡관설동에선 4~5개 아파트 단지가 일제히 10~18%씩 할인 판매에 나선 상황. 이 중 일부는 아파트 건설 공사에 참여했던 하도급업체들이 공사 대금 대신 받은 아파트 가격을 할인 판매하고 있다. 새 아파트 단지 곳곳에 '할인분양 결사반대'라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부산에선 회사의 경영사정 악화로 미분양 아파트를 떠안은 직원들이 집단행동을 벌이고 있다. 중견건설사인 S건설이 부산 서면에서 분양한 아파트가 팔리지 않자 직원 50여명에게 아파트를 떠넘겼다. 그러나 이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공사를 포기하자 직원들은 1인당 계약금 수천만원씩을 몽땅 날리게 됐다.
◆경기회복돼도 미분양 해소될지는 의문
국토해양부 집계 결과, 3월 기준으로 전국 미분양아파트는 16만5641가구. 역대 최대 규모다. 수도권은 2만8600가구, 지방은 13만7041가구에 이른다. 인구 비율은 지방과 수도권이 비슷하지만 미분양 아파트 수는 지방이 4배가 넘는다. 아파트를 다 지었는데도 팔리지 않아 '악성(惡性)'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수도권 2078가구에 불과하지만 지방은 4만9691가구나 된다.
더 큰 문제는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지방 주택시장이 되살아나기가 쉽지 않다는 것. 지난해 하반기 이후 시작된 경기 침체에 따른 영향보다는 2~3년 전부터 지방 주택 시장은 이미 공급 과잉 상태였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지방에선 일반적인 주택 수요자가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기는 쉽지 않은 만큼 주택 임대 사업을 활성화시키는 방법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