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부담 덜어낸 분양가… 실수요자들 '솔깃'

    입력 : 2008.06.17 16:03 | 수정 : 2008.06.17 16:11

    분양가 상한제 적용한 아산 신도시
    3.3㎡당 분양가 850만원 안팎 예상
    단기 차익 노린 투자 신중하게 고려

    올 하반기 충남 아산 신도시에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는 아파트가 잇따라 나온다. 올해 말까지 분양예정인 물량은 총 3565가구. 우선 요진건설산업이 이달 중 주상복합아파트 '와이 시티'(Y-City) 1479가구 분양에 들어간다. 주택공사는 7월 464가구, 9월 825가구를 연이어 내놓는다. STX건설도 내달 중 797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이들 단지가 KTX 천안아산역이 가깝고, 분양가가 비교적 저렴해 실수요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하다"며 "하지만 주변에 미분양 물량이 남아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2011년 5월 충남 아산시 배방지구에 들어서는 주상복합 아파트 ‘와이 시티(Y-City)’ 완공 후 모습. 분양가는 상한제 적용을 받아 3.3㎡당 850만원 수준에서 책정될 예정이다. /요진건설산업 제공

    ■분양가 상한제 적용된 3500가구 나와

    요진건설이 아산신도시 배방지구(M-1블록)에 분양하는 '와이 시티'는 28∼30층, 78∼218㎡형으로 모두 1479가구의 대단지. 아산시에서 공급되는 주상복합아파트 가운데 처음으로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받는다. 3.3㎡(1평)당 분양가는 850만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인근 펜타포트 주상복합아파트가 1100만~1300만원에 분양되고, 오는 10월 입주할 천안 불당동 트윈팰리스 역시 2006년 분양가가 1000만~1100만원 선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낮은 편이다. 2011년 5월 입주 예정이며, 계약 1년 후부터 전매 가능하다. 계약금은 분양가의 20%인데, 이 중 절반은 전매 제한이 끝나는 1년 뒤에 내면 되기 때문에 초기 부담도 적은 편이다. 주변에 주상복합아파트가 많아 대형 할인마트와 쇼핑센터 등 생활 편의시설이 풍부하다는 평가다.

    주택공사은 올해 말까지 모두 1289가구를 내놓는다. 우선 내달 초 127~160㎡ 8개동 464가구를 분양한다. 127㎡ 181가구, 141㎡ 193가구, 160㎡ 90가구로 구성된다. 예상 분양가격은 700만원 전후. 지상주차 비율(8% 정도)을 줄이고 녹지공간을 늘렸다. 오는 9월 분양되는 825가구는 98㎡ 231가구, 111㎡ 594가구이다.

    STX건설도 내달 중 797세대를 분양할 예정이다. 101㎡, 107㎡, 114㎡, 134㎡ 등 총 8개 타입으로 구성돼 있다. 학교 부지가 가깝고, 백화점·대형마트 등이 주변에 들어설 예정이다. 분양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기존 분양 아파트보다 낮게 책정될 전망이다.


    ■1년 이후 전매 가능… 미분양 많아 부담


    이번에 아산신도에서 선보이는 이들 아파트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가격이 낮고, 전매제한 기한도 대폭 완화돼 실수요자 부담이 크게 줄었다.

    우선 1년 후 전매가 가능해진다. 기존 지방 공공택지 전매금지기간이 전용면적 85㎡ 초과인 경우 3년이었지만, 이달 29일부터 면적에 상관없이 계약일로부터 1년으로 변경된다.

    수도권 교통이 편리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인접한 KTX 천안아산역을 이용할 경우, 서울까지 30분대에 진입 가능하다. 또 경부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21호선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 탕정단지를 비롯해 현대제철과 만도기계 등 주요 사업장으로 출퇴근이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 초·중·고등학교가 충분히 들어서지 않아 교육여건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최근 아산 일대에 아파트 공급이 잇따르면서, 미분양이 많다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만큼, 마감재 등 세부 사양이 기존 아파트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 닥터아파트 이진영 팀장은 "아산 신도시는 인구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크다"며 "하지만 미분양 물량이 소화되지 않은 만큼, 단기적 차익을 노린 투자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