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뜀박질 멈춘 강북 지금은 숨고르는 중

    입력 : 2008.04.14 21:53

    집값 안정 대책 직격탄 매수 문의 뚝 끊겼지만 하락세 여부 더 지켜봐야
    아파트 대부분 6억미만 주택거래신고제 적용은 시세에 큰 영향 못미쳐

    지난 11일 서울 강북 지역에 대한 정부의 집값 안정 대책이 발표된 이후, 이 지역 주택 시장이 빠른 속도로 관망세로 돌아서고 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정부 대책 여파뿐 아니라 그간의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성격도 있는 만큼, 앞으로 집값이 하락세로 전환될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는 전망이 많다.

    ◆매수 문의 거의 사라져=서울 노원구와 도봉구 등 이번 정부 대책의 직격탄을 맞는 지역의 아파트 거래 시장은 14일 크게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얼마 전까지 폭주하던 매수 문의는 거의 끊겼다. 노원구 상계동 삼성공인 이대석 사장은 "3월 말만 하더라도 전화를 끊기가 무섭게 전화가 다시 걸려 올 정도였지만, 지난 주말부터는 문의가 일절 사라진 상태"라고 말했다.

    노원구 중계동 금호공인 관계자 역시 "워낙 단기 간에 집값이 뛴데다, 최근 정부 대책이 나올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이미 매수세가 거의 사라졌다"고 말했다. 도봉구 창동 신세계부동산 이종숙 사장은 "소형 주택 집값이 급등하면서 중형 주택으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꽤 됐는데 이젠 그 수요도 실종됐다"고 말했다.
    2~3월 급등세를 보이던 서울 노원구 일대 아파트. 정부가 최근 노원구 등 강북지역을 겨냥, 세무조사를 강화하는 등 투기대책을 발표하자 집값 오름세가 일단 멈췄다. 연합

    최근 서울에서 가장 매매 거래가 많이 일어났던 두 지역의 거래가 끊김에 따라 강북권 집값이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노원구는 지난 2월 기준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량(7152가구)의 14.5%(1038가구)를 차지할 정도로 거래가 많이 일어나며 집값이 급등했던 지역이다. 도봉구에서도 한 달 사이 439건(6.1%)이 거래됐었다. 서울 강북 지역과 함께 집값 급등을 주도했던 의정부시 일대 중개업소들 역시 매수 문의가 눈에 띄게 줄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직 집 주인들이 매도 호가를 떨어뜨리지는 않고 있다. 노원구·도봉구·의정부시 일대 중개업소에 따르면 이 지역 아파트 시세는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급등한 뒤, 변동이 없다. 삼성공인 이대석 사장은 "집 주인 입장에서는 막상 집을 팔아도 다른 쪽으로 갈 곳이 없기 때문에 매도 호가를 낮추는 경우가 드물다"고 말했다.

    ◆주택거래신고지역·투기 조사가 압박될까=지난 주말 정부가 내놓은 대책 가운데 주택거래신고지역 지정 방침은 시세에 큰 영향을 발휘하지 못할 전망이다. 중계동의 경우, 이미 신고지역으로 지정된 데다 나머지 대부분 지역 역시 실거래가 신고 기간을 기존 60일에서 15일로 단축시키는 효과밖에 없기 때문이다.

    스피드뱅크 김은경 팀장은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해당 지역에서 6억원 넘는 아파트 구입시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는 점이 가장 부담스러운 부분"이라며 "하지만 최근 집값이 급등한 강북권 아파트는 6억원 미만짜리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의정부시 금오동 중앙공인 허영 사장은 "그동안 2억원 안팎의 저가 아파트 위주로 거래됐다"며 "주택거래신고제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매도·매수자 모두 그 부분에 대해선 무관심한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투기 단속 등은 심리적으로 압박 요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노원구의 한 중개업자는 "그동안 이 지역에서 아파트를 산 사람들 중에는 서울 강남 사람도 적지 않았다"며 "투기 단속 조치로 거래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 단속에 부담을 느낀 중개업소들이 임시로 일정 기간 문을 닫을 경우, 자연히 거래가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세가 주춤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14일 서울시 오세훈 시장이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뉴타운 추가 지정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도 집값 안정 여부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강북 지역 집값 급등 배경에는 뉴타운 추가 지정에 대한 기대감도 작용했다.

    오 시장은 이날 "이미 정부와 재개발에 따른 이주 수요 분산 대책 논의를 시작했다"며 "기존 1∼3차 뉴타운 사업이 가시화되기 전에는 4차 뉴타운 지정도 고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