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서민용 소형주택 품귀… 전셋값 치솟아

    입력 : 2007.11.27 22:59

    재개발로 다세대·다가구 소형주택 대거 헐려
    1인·2인 가구 급증하는데 중대형 위주 공급

    “작은 주택은 아예 동이 났습니다. 반(半)지하 정도만 몇 개 남았으니까요.” 서울 동대문구 전농3동 D공인중개업소 김모(46) 실장은 “다세대 주택은 별로 없는데 찾는 사람들은 몰려 5000만~6000만원 하던 전세금이 두 달 만에 1000만~2000만원 정도씩 올랐다”고 말했다. 지난 9월 말 재개발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세입자들이 싼 전셋집을 찾아 인근 답십리나 면목동, 심지어 경기도 의정부까지 이사를 가고 있다. 최근 재건축·재개발이 활발한 성남도 사정은 마찬가지. ‘대명 공인중개’ 조명숙 사장은 “다가구·다세대 주택의 전셋값이 작년에 비해 15~20% 정도 올랐다”며 “내년에 재개발을 위한 이주가 본격화되면 전세시장이 더 불안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에서 재개발 사업이 한꺼번에 추진되면서 다가구·다세대 등 서민용 소형주택이 대거 헐려 ‘소형주택 품귀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2~2006년 서울에서 15만7600가구의 주택이 재개발·재건축으로 철거됐다. 앞으로도 서울에서 10만2000가구의 소형주택이 헐릴 예정. 철거되는 주택 대부분이 서민용 소형주택인 데 반해 신축 주택은 중산층용 아파트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중대형 전세시장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서민용 소형주택은 전세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올 들어 2.83% 오르는 데 그쳤지만 66㎡(20평) 이하 소형아파트는 7%가 넘게 올랐다. 특히 성동구와 강북구의 소형평형 아파트는 19%와 15%씩 올랐다.

    ◆소형주택 급감, 1인 가구는 급증=수도권 아파트 공급물량의 경우 1990년대 이전에는 99㎡ 이하의 소형평형 비중이 전체의 67%였다. 그러나 1990년대는 54.4%로, 2000년 들어서는 30.7%로 낮아졌다. 전세금이 저렴한 10평대 소형 아파트가 밀집했던 송파구 잠실·강남구 도곡동은 물론 강북의 달동네 지역도 대부분 중대형 위주로 개발된 상태. 여기다가 서울과 경기도의 뉴타운 사업으로, 소형 주택의 대규모 철거가 이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소형주택을 필요로 하는 1인·2인 가구는 급증 추세. 1인 가구의 비율이 1990년대엔 9%에 불과했으나 2005년에는 20%를 넘었다. 2인 가구의 비율도 13.8%에서 2005년 22%를 넘어섰다. ‘부동산114’ 김혜현 부장은 “소형주택 수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소형주택은 계속 헐려 전세시장은 중대형 약세·소형평형 강세 현상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심에도 ‘쪽방’ 건설 붐=소형주택이 급감하면서 대학생 등 1인 가구 등을 겨냥한 ‘쪽방’(원룸)들이 도심에 대거 등장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역삼동 뒷골목 5층 건물. 1층은 음식점, 2층은 카페, 3층은 사무실이지만 4~5층은 6.6~9.9㎡짜리 쪽방 40여 개가 들어서 있다. 소형주택이 품귀현상을 빚자 사무실을 방으로 개조한 것. ‘스카이 부동산’ 신동선 사장은 “방 한칸에 월세 30만~40만원 정도로 사무실 임대보다 수익이 더 좋아 상가·사무실 상가를 월셋집으로 개조하는 사업이 붐을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장영희 박사는 “대학생 등 급증하는 1인 가구를 위해서 임대료가 저렴한 다세대형 공동주택 등 소형주택 공급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