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7.03.18 22:47
최고 6000만원… 전체 매매시장 관망세 여전
주택구입 수요 줄어 전세시장은 강세 이어져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 최고 6000만원까지 호가가 떨어진 급매물이 나오고 전세가는 오름세를 타는 등 보유세 급등의 여파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인 아파트 시장은 관망세에 머물러 있어, 집값 급락의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일부 고가 아파트 수천만원 낮춘 급매물 나와=지난 14일 아파트 공시가격 발표의 충격이 시장을 강타하면서,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일부 급매물이 나오고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에서는 직전 시세보다 6000만원 떨어진 호가의 매물이 나왔다. 이 단지 34평형 시세는 공시가격 발표 이전 12억5000만원이었다. 하지만 지난 주말에 호가 11억9000만원의 매물이 등장했고, 15억2000만원이던 36평형 중에도 14억8000만원의 매물이 나왔다. 이 단지 매물 수는 10개 안팎에서 지난 주말 30개쯤으로 늘었다. 강남구 개포 주공 1단지도 공시가격 발표 이후 일부 평형 호가가 1000만~2000만원 떨어졌다. 강남구 은마아파트 31평형도 시세보다 2000만원쯤 떨어진 급매물이 나왔다.
분당 정자동 상록우성 48평형 로열층의 경우 12억8000만~13억원의 시세를 보이다 최근 11억5000만원의 매물이 나왔다.
황용천 해밀컨설팅 대표는 “매도 호가를 갑자기 수천만원씩 낮춘 소유자는 오는 6월 1일의 종부세 부과 이전에 아파트를 처분하려는 경우”라며 “다주택 소유자들은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지만, 아파트가 1채뿐이고 현금 수입이 적은 집주인들이 급하게 집을 팔려는 추세”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반적인 아파트 시장은 관망세에 머물러 있어, 집값 급락의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일부 고가 아파트 수천만원 낮춘 급매물 나와=지난 14일 아파트 공시가격 발표의 충격이 시장을 강타하면서,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일부 급매물이 나오고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에서는 직전 시세보다 6000만원 떨어진 호가의 매물이 나왔다. 이 단지 34평형 시세는 공시가격 발표 이전 12억5000만원이었다. 하지만 지난 주말에 호가 11억9000만원의 매물이 등장했고, 15억2000만원이던 36평형 중에도 14억8000만원의 매물이 나왔다. 이 단지 매물 수는 10개 안팎에서 지난 주말 30개쯤으로 늘었다. 강남구 개포 주공 1단지도 공시가격 발표 이후 일부 평형 호가가 1000만~2000만원 떨어졌다. 강남구 은마아파트 31평형도 시세보다 2000만원쯤 떨어진 급매물이 나왔다.
분당 정자동 상록우성 48평형 로열층의 경우 12억8000만~13억원의 시세를 보이다 최근 11억5000만원의 매물이 나왔다.
황용천 해밀컨설팅 대표는 “매도 호가를 갑자기 수천만원씩 낮춘 소유자는 오는 6월 1일의 종부세 부과 이전에 아파트를 처분하려는 경우”라며 “다주택 소유자들은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지만, 아파트가 1채뿐이고 현금 수입이 적은 집주인들이 급하게 집을 팔려는 추세”라고 말했다.
◆전세가는 되레 상승세=하지만 아파트값 급락의 조짐은 아직 없다는 분석이다. 강동구 둔촌 주공·고덕 주공 등의 다른 재건축 단지에서는 아직 급매물이 없고, 매물 숫자도 늘지 않고 있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0.01% 하락에 그쳤다. 5대 신도시 아파트값은 0.01% 올랐고, 기타 경기 지역 아파트값도 0.03% 올랐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소장은 “고가 아파트의 경우 대부분 집주인들이 양도세 부담 때문에 ‘좀 더 지켜보자’ 분위기인 데다 매기가 실종돼 거래가 이루지지 않는 상태”라며 “비(非) 강남권’의 소형 아파트는 조금씩 매수세가 형성돼 소폭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세시장은 강세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지난주에 0.09% 올랐고, 수도권도 0.1% 오름세를 탔다. 광진구 자양동 현대 30평형은 2000만원쯤 올랐고, 일산 주엽동 강선건영·백석동 백송두산 등의 20~30평형대도 500만원쯤 올랐다.
김규정 ‘부동산114’ 팀장은 “보유세 충격으로 주택 구입을 일단 미룬 채 오는 9월 이후 싼 분양 아파트를 기다리자는 전세 대기 수요가 더 늘어나는 데다, 일부 집주인은 보유세를 내기 위해 전세가를 올리거나 월세로 전환하고 있어 전세가는 오름세를 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