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07.03.05 01:02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가 IMF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방의 극심한 불황으로 지방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는 데다, 저가의 새 아파트에 대한 기대감 속에 주택 구매를 분양가 상한제 실시 이후로 미루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는 작년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7만3772가구로, 1년 전에 비해 28.9%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미분양 아파트 수(연말 시점 기준)는 IMF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10만2701가구를 기록한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아진 것이다.
지역별로 서울·수도권(4724가구)은 2005년보다 61.4% 줄어든 반면, 지방(6만9048가구)은 55.5%나 늘었다. 공급 주체별로는 공공부문(1954가구)이 1년 전보다 66.3% 줄었지만, 민간부문(7만1818가구)은 39.7% 증가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상호 건설정책실장은 “서울·수도권과 지방의 주택 시장 양극화가 갈수록 극심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건설교통부는 작년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7만3772가구로, 1년 전에 비해 28.9%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미분양 아파트 수(연말 시점 기준)는 IMF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10만2701가구를 기록한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아진 것이다.
지역별로 서울·수도권(4724가구)은 2005년보다 61.4% 줄어든 반면, 지방(6만9048가구)은 55.5%나 늘었다. 공급 주체별로는 공공부문(1954가구)이 1년 전보다 66.3% 줄었지만, 민간부문(7만1818가구)은 39.7% 증가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상호 건설정책실장은 “서울·수도권과 지방의 주택 시장 양극화가 갈수록 극심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