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메뉴 건너뛰기 (컨텐츠영역으로 바로 이동)

강남 등 아파트값 급등세 꺾였나

    입력 : 2005.07.14 18:00 | 수정 : 2005.07.15 02:50

    보름새 호가 2억원 넘게 빠진 급매물 등장
    정부 대책 확정때까지 진정국면 이어질 듯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 보유세 인상 추진 등 정부의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서울·수도권 일부 지역 아파트 매도 호가(賣渡 呼價) 상승세가 이달 들어 한풀 꺾였다. 서울 강남, 분당, 용인 등 그동안 가격이 급등했던 지역에서는 보름 새 호가가 최고 2억원 이상 빠져 일단 ‘불길’은 잡힌 모습이다. 그러나 매도·매수자 모두 8월 말 정부 대책이 나올 때까지 “일단 기다려보자”는 분위기가 팽배해 거래는 사실상 올스톱됐다.


    14일 강남 대치동 부동산 업소에 하나둘씩 아파트 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본격적인 거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업자들의 설명이다. / 허영한기자
    ◆호가 하락세 확산, 급매물 등장=가격 상승세가 꺾인 것은 이달 초부터다.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비율을 낮추고, 다(多)주택자 중과세를 추진하면서 투자 심리가 급속히 얼어붙었다. 강남, 분당 등 주요 지역에서 사라졌던 매물이 1~2개씩 나오고, 부르는 값도 하향 조정되고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36평형은 지난달 말 13억7000만원까지 거래됐지만 최근엔 11억7000만원대로 2억원이나 주저앉았다. 분당신도시도 30평대는 1000만~2000만원, 40평대 이상은 2000만~3000만원씩 호가가 떨어졌다. 분당 림방공인 박왕희 사장은 “아파트 단지별로 1~2개에 불과했던 매물이 3~4개씩으로 늘었다”면서 “그나마 값이 더 내릴 것을 기대해 사려는 사람들은 없다”고 말했다.

    급매물도 나오고 있다. 과천 중앙동 주공10단지는 최근 1억원 이상 싼 매물이 등장했고, 용인 죽전에서도 시세보다 3000만~5000만원 낮은 급매물이 1~2개씩 나왔다.

    반면 주택 거래량은 줄어들고 있다. 강남·서초·분당·과천 등 8개 지역의 지난 4~10일까지 주택거래 신고 건수는 386건으로 지난달 13~19일(973건)보다 60%나 급감했다.

    ◆대치동 등 일부 지역은 ‘요지부동’=서울 강남구 대치동 등 10억원대 이상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은 아직까지 뚜렷한 호가 하락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대치동 선경, 개포우성 등은 지난달 시세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대치동 전원부동산 관계자는 “양도세 등 세금 부담이 워낙 커 매물 자체가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부 지역에선 아파트 부녀회가 반상회 등을 통해 가격 하락을 인위적으로 막고 있다. 실제로 안양의 A아파트 부녀회는 매월 ‘가격 공시문’을 만들어 배포하며 인근 중개업소에 일정 가격 이하로 매물을 내놓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일부 부녀회는 부동산 정보업체가 제공하는 시세까지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올려달라며 압력을 넣고 있다.

    ◆과세 강화·공급 확대 동시 추진해야=전문가들은 정부 대책이 확정되는 8월 말까지는 일단 호가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114 김혜현 부장은 “다주택자 중심으로 매물이 하나 둘씩 나오고 있다”면서 “여름 휴가철까지 겹쳐 당분간 집값은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8월 말 정부 대책에 따라 집값 향배가 판가름날 것으로 보고 있다.

    시간과공간 한광호 대표는 “종합부동산세를 대폭 올리면 아무리 집부자라도 세 부담 때문에 매물을 내놓을 것”이라며 “매물이 쏟아져 나오면 집값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보유세 인상으로 오히려 강남의 매물이 더 감소하고, 서민 주택만 매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이전 기사 다음 기사
    sns 공유하기 기사 목록 맨 위로
    닫기